태풍의 정의
태풍의 정의 : 북태평양 서남부에서 발생하여 아시아 대륙 동부로 불어오는, 폭풍우를 수반한 맹렬한 열대 저기압. 풍속은 초속 17.2미터 이상으로 중심에서 수십 km 떨어진 곳이 가장 크며, 중심은 비교적 조용한 편이다. 보통 7~9월에 내습하여 종종 해난과 풍수해를 일으킵니다. (네이버 지식백과)
태풍은 일반적으로 여름에 온다고 알고 있으나, 실제로 가장 많이 오는 태풍의 시기는 가을에 많이 옵니다.
특히 큰 태풍의 경우 가을에 더 많이 발생합니다.
태풍 속도에 따라서 위험 대비를 할 수 있습니다.
일반인들은 50m/s로 바람이 불었다고 하면 잘 이해를 못합니다.
아래에서 구체적인 예시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태풍의 크기 구분
풍속 15m/s 이상의 반경 | 크기 분류 |
300km 미만 | 소형 |
300km - 500km | 중형 |
500km - 800km | 대형 |
800km 이상 | 초대형 |
태풍의 풍속에 따른 예상 피해
풍속은 바람이 단위 시간당 이동하는 공기의 속도입니다.
30 m/s 이상의 바람은 상당히 위험한 수준의 태풍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2019년도는 13호 태풍 링링, 17호 태풍 타파, 18호 태풍 미탁 이 한국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었습니다.
마무리
태풍은 매년 오게 되며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중요한 재난 요소입니다.
관련 글
기상청 날씨누리 https://www.weather.go.kr/weather/typoon/knowledge_01.jsp
중앙일보 https://news.joins.com/article/23571864
자료가 마음에 드셨다면, 하단부 공감 버튼 꾸욱~ 눌러주세요
728x90
SMALL