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RL 개념
o 미국 NASA에서 우주산업의 기술투자 위험도 관리의 목적으로 1989년 Sadin 등이 처음 도입된 이래, 특정기술(재료, 부품, 소자, 시스템 등)의 성숙도 평가, 이종기술간의 성숙도 비교를 위한 체계적인 미터법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음
o TRL 개념은 기술상용화 정도에 따라 [기초연구, 실험, 시작품, 실용화, 사업화]의 5단계로 구분함. 이는 세부적으로 9단계로 정의될 수 있으며, 산업원기술개발사업은 주로 2~7단계에 해당하는 기술개발사업을 의미함.
단계별 정의 및 세부설명
o TRL 개념은 기술상용화 정도에 따라 [기초연구, 실험, 시작품, 실용화, 사업화]의 5단계로 구분.
o 이는 세부적으로 9단계로 정의될 수 있으며, 산업원기술개발사업은 주로 2~7단계에 해당하는 기술개발사업을 의미.
구 분 | 단계 | 정 의 | 세 부 설 명 |
기초 연구 단계 |
1 | 기초 이론/실험 | ∘기초이론 정립 단계 |
2 | 실용 목적의 아이디어, 특허 등 개념정립 |
∘기술개발 개념 정립 및 아이디어에 대한 특허 출원 단계 | |
실험 단계 |
3 | 실험실 규모의 기본성능 검증 |
∘실험실 환경에서 실험 또는 전산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본성능이 검증될 수 있는 단계 ∘개발하려는 부품/시스템의 기본 설계도면을 확보하는 단계 |
4 | 실험실 규모의 소재/부품/시스템 핵심성능 평가 |
∘시험샘풀을 제작하여 핵심성능에 대한 평가가 완료된 단계 ∘3단계에서 도출된 다양한 결과 중에서 최적의 결과를 선택하려는 단계 ∘컴퓨터 모사가 가능한 경우 최적화를 완료하는 단계 |
|
시작품 단계 |
5 | 확정된 소재/부품/ 시스템 시작품 제작 및 성능 평가 |
∘확정된 소재/부품/시스템의 실험실 시작품 제작 및 성능 평가가 완료된 단계 ∘개발 대상의 생산을 고려하여 설계하나 실제 제작한 시작품 샘플은 1~수개 미만인 단계 ∘경제성을 고려하지 않고 기술의 핵심성능으로만 볼 때, 실제로 판매가 될 수 있는 정도로 목표 성능을 달성한 단계 |
6 | 파일롯 규모 시작품 제작 및 성능 평가 |
∘파일롯 규모(복수 개~양산규모의 1/10정도)의 시작품 제작 및 평가가 완료된 단계 ∘파일롯 규모 생산품에 대해 생산량, 생산용량, 불량률 등 제시 ∘파일롯 생산을 위한 대규모 투자가 동반되는 단계 ∘생산기업이 수요기업 적용환경에 유사하게 자체 현장테스트를 실시하여 목표 성능을 만족시킨 단계 ∘성능 평가 결과에 대해 가능하면 공인인증 기관의 성적서 확보 |
|
제품화 단계 |
7 | 신뢰성평가 및 수요기업 평가 |
∘실제 환경에서 성능 검증이 이루어지는 단계 ∘부품 및 소재개발의 경우 수요업체에서 직접 파일롯 시작품을 현장 평가(성능 및 신뢰성 평가) ∘가능하면 인증기관의 신뢰성 평가 결과 제출 |
8 | 시제품 인증 및 표준화 |
∘표준화 및 인허가 취득 단계 | |
사업화 | 9 | 사업화 | ∘본격적인 양산 및 사업화 단계 ∘6-시그마 등 품질관리가 중요한 단계 |
728x90
SMALL